티스토리 뷰

반응형

5. 품종의 재배적 특성

①  간장(幹長:키)

  • 장간종과 단간종으로 구별, 장간종은 도복 우려가 높음(벼, 보리, 수수 등)
  • 줄기가 긴 것과 짧은 것으로도 구별, 짧은 품종이 밀식적응성이 높음(고구마, 호박)

②  초형(草形) 

  • 직립형 초형은 윗잎이 짧고 곧추서기 때문에 수광태세가 좋아서 광합성 효율이 높고, 수량 확보에도 유리함
  • 수수형(穗數型) 품종 수중형(穗重型) 품종
    이삭이 작으나 분얼이 많아 이삭수가 많은 품종 분얼이 적어 이삭수도 적으나 이삭이 큰 품종
    키가 작아(단간) 도복에 잘 견딤 장간, 초세가 장대함
    뿌리는 천근성 뿌리는 심근성
    비옥답 · 다비재배에 적합, 조식재배에 유리함 척박지 · 소비(少肥, 적은 비료)재배 · 만식재배에 견딤
    소식(巢植)과 분얼비가 유효함
     *소식 : 한 개소에 2본 이상의 묘목을 모아 하나의 군으로 식재(군상식재)
    밀식과 수비(穗肥, 이삭거름)가 유효함
    평야지 재배가 적절 산간지 재배가 알맞음

③  내도복성(耐倒伏性)

  • 벼나 맥류에서 키가 작고(단간형), 줄기가 단단하며(강간성), 간기중(稈基重, 지표에서 10㎝까지의 줄기 무게)이 무거울수록 내도복성이 강함

④  탈립성(脫粒成)

  • 탈립이 너무 잘되면 바람이나 작업으로 손실되기 쉽고, 너무 어려우면 수확작업이 불편함
  • 크기 : 야생종 〉 재배종, 인디카 〉 자포니카

⑤  까락

  • 까락의 유무에 따라 유망종(有芒種), 무망종으로 구별, 벼나 맥류에서 까락이 긴 것은 수확 후 탈곡작업이 불편함, 맥류에서는 동화작용에 관여하기도 함

⑥  조만성(早晩性)

  • 생육기간의 장단에 따라 조생종과 만생종으로 구분
  • 우리나라는 감온성이 큰 작물은 조생종으로 분화, 감광성이 큰 작물은 만생종으로 분화되어 있음
  • 벼에서 산간지나 조기재배의 경우 조생종(감온성)이 알맞고, 평야지나 조식재배의 경우 만생종(감광성)이 수량 확보에 유리함
  • 맥류에서는 조숙종이 작부체계상 유리

⑦  저온 발아성

  • 저온 발아성이 큰 품종은 조파나 조기육묘에 유리하고, 벼의 경우 직파재배에서 유리함
  • 벼는 저온 발아성이 조생종이 만생종보다 크고, 일반계(japonica)가 통일계보다 큼

⑧  묘대일수(苗垈日數) 감응도

  • 의미 : 못자리 기간이 연장됨에 따라 모가 노숙하고 모낸 뒤 생육에 난조가 생기는 정도
  • 크기 : 감온형(T) 감광형(L) 〉 기본영양생장형(B)
  • 만식시에 묘대일수 감응도가 낮은 품종이 안전함

⑨  만식적응성

  • 의미 : 모내기가 늦어질 때에도 안전하게 생육 · 성숙하여 수량확보에 안전한 특성
  • 크기 : 만생종(감광형) 〉 조생종(감온형)

⑩  조식적응성

  • 조기수확을 목적으로 조파조식(조기재배)할 때에는 조생종(감온형)이 알맞음
  • 출수 · 성숙을 앞당기지 않고 파종 · 이앙을 앞당겨 생육기간을 연장하여 증수하고자 하는 조식재배할 때에는 만생종(감광형)이 알맞음

⑪  내성(耐性)

내비성(耐肥性) 특히 질소비료를 많이 주어도 안전한 생육을 할 수 있는 특성, 수량을 높이는 데 중요함
 · 맥류에서 내병성 · 내도복성이 강하고, 수광태세가 좋은 초형을 가진 품종이 내비성이 강함
옥수수는 내비성이 강한 대표적인 작물임
내냉성(耐冷性) 냉온에 견디는 성질, 특히 벼에서 중요한 특성
생육이 빠른 조생종이 만생종보다 강함, 벼에서 일반계가 통일계보다 강함
도열병에 강한 것은 내냉성이 강한 편
내동성(耐凍性) 맥류 등 월동작물에서 중요한 특성
내동성이 강해야 월동이 안전하고 높은 수량을 올림
내습성(耐濕性) 과습한 토양에 견디는 성질, 맥류에서 내동성이 강한 품종은 내건성이 강한 경향이 나타남
내염성(耐鹽性) 염분 농도가 높은 토양에 견디는 성질, 해안 간척지 벼농사에서 문제가 됨
내병성(耐病性) 병해에 견디는 성질
균계(race)가 계속 분화되므로 품종의 내병성은 영속적이지 못함
벼의 줄무늬마름병은 남부지방에서 발생이 심함
내충성(耐蟲性) 해충에 내성을 가지는 성질, 생태형 분화가 생겨 영속적이지 못함

⑫  관수저항성

  • 수해 상습답에서 요망되는 특성, 관수는 식물체가 물에 잠기는 것을 말함

⑬  추락저항성

  • 노후답 등에서 나타나기 쉬운 벼의 추락 현상의 정도가 덜한 특성
  • 황화수소(H2S)와 같은 유해물질에 대한 저항성이 크고, 깨씨무늬병에 대한 저항성이 강함
  • 성숙이 빠른 품종은 추락저항성이 대개 높음

⑭  저장성(貯藏性)

  • 고구마, 감자 같은 서류작물은 수분함량이 많아서 저장이 곤란함
  • 서류에서 저장성이 높은 품종이 요구됨

⑮  기타

  • 수량, 품질, 광지역적응성
  • 직파적응성 벼품종 : 저온발아성, 초기신장성, 내도복성이 요구됨
반응형

'재배기초 및 유전 > 품종'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5. 유전자원 관리  (0) 2022.04.07
1-44. 신품종 관리  (0) 2022.04.07
1-42. 품종의 특성(1)  (0) 2022.04.04
1-41. 작물의 분류  (0) 2022.03.31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