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재배기초 및 유전/품종

1-41. 작물의 분류

은하저편 2022. 3. 31. 11:50
반응형

1. 식물학적 종

①  종(species)

  • 식물분류학에서 식물 종류를 나누는 기본단위
  • 식물분류 단위 : 계 - 문 - 강 - 목 - 과 - 속 - 종
  • 식물학적 종은 개체간에 교배가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자연집단
  • 벼속(Oryza)에는 24종이 있고, 그중 재배종은 사티바(O. sativa, 아시아 벼)글라베리마(O. glaberrima, 아프리카 벼)가 존재함

②  학명(scientific name)

  • 학명 : 식물학적 종은 2명법으로 호칭함
  • 2명법은 속명 종소명으로 함께 표시한 것
  • 학명은 라틴어로 명명, 이탤릭체로 표기
  • cf. 3명법 : 속명 + 종명 + 아종명

③  사례

  • 작물의 종류와 식물학적 종은 서로 일치함(벼 - Oryza sativa L., 밀 - Triticum aestivum L.)
  • 한 가지 작물에 2개 이상의 종(학명)이 포함되기도 함(유채(평지) - Brassica campestris, B. napus)
  • 여러 가지 작물을 1개 종(학명)으로 부르기도 함(근대, 꽃근대, 사탕무, 사료용 사탕무 - Beta vulgaris)

2. 아종 : 생태종과 생태형

①  아종(subspecies)

  • 하나의 종 내에서 형질의 특성이 차이나는 개체군(변종, variety)
  • 아종은 특정 지역(환경)에 적응해서 생긴 것으로 작물학에서는 생태종이라고 부름

②  생태종

  • 생태종 사이에는 교잡친화성이 낮아 유전자교환이 어렵기 때문에 형태적 차이가 나타남
  • 아시아 벼와 생태종은 인디카(indica), 열대자포니카(tropical japonica), 온대자포니카(temperate japonica)로 구분

③  생태형(ecotype)

  • 생태종 내에서 재배유형이 다른 것은 생태형으로 구분함
  • 생태형끼리는 교잡친화성이 높아 유전자교환이 잘 일어남
  • 온대자포니카 벼조생종, 중생종, 만생종 등으로 분화됨 · 
  • 인디카 벼겨울벼(Boro), 여름벼(Aus), 가을벼(Aman) 등으로 분화됨
  • 맥류(보리와 밀 등)는 춘파형, 추파형의 생태형으로 분화됨
  •  
    계-문-강-목-과- -속- -종- -아종-
    생태종 생태형
    식물계 Oryza sativa temperate japonica 조 · 중 · 만생종
       -종자식물문 indica Boro · Aus · Aman
       -피자식물아문 tropical japonica  
       -단자엽식물강 glaberrima    
       -영화목
       -볏과

3. 품종(cultivar, variety)

①  의미

  • 다른 것과 구별되는 특성을 지니고, 그 특성이 재배 · 이용상 지장이 없을 정도로 균일하며, 세대가 진전되어도 균일한 특성이 변화하지 않는 개체군
  • 품종은 작물의 기본단위이면서 재배적 단위로서, 특성이 균일한 농산물을 생산하는 집단(개체)임
  • 작물의 생태형은 다양한 재배환경에 적응하여 생긴 것이며, 각 생태형에는 많은 품종이 속해 있음

②  품종명

  • 품종명은 특정한 원칙에 의하여 명명되는 것은 아니지만, 대개 품종의 특성이나 유래 등을 나타내는 낱말에 작물 이름을 붙임
  • 실례
장엽콩 잎이 긴 특성을 지닌 콩품종
올보리 숙기가 빠른 조생종 보리품종
대립벼1호 쌀이 크고 무거운 벼품종
충주팥 충주에서 수집하여 순계분리한 팥품종

4. 계통(line, strain)

  • 품종을 육성하는 과정에서 인위적으로 만든 잡종 집단에서 특성이 다른 개체를 선발(F2)하여 증식한 개체군(F3)을 계통이라고 부름
  • 품종을 재배하는 동안 자연교잡, 돌연변이, 이형유전자형 분리, 이형종자의 기계적 혼입 등에 의하여 품종 내에 유전적 변화가 일어나 새로운 특성을 지닌 변이체가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변이체의 자손을 말함

5. 순계(pure line)

  • 유전적으로 동형접합인 개체에서 나온 자손 계통
  • 계통 중에서 유전적으로 고정된 것(동형접합체)
  • 순계 내의 변이는 환경변이로서 순계 내 선발 효과는 없음
  • 동계교배를 계속하면 순계를 얻을 수 있고, 자식성 작물은 우량한 순계를 골라 신품종으로 육성함

 

반응형

'재배기초 및 유전 > 품종'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5. 유전자원 관리  (0) 2022.04.07
1-44. 신품종 관리  (0) 2022.04.07
1-43. 품종의 특성(2)  (0) 2022.04.05
1-42. 품종의 특성(1)  (0) 2022.04.04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