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양성잡종(AaBb)에서 비대립유전자 A와 B가 독립적일 때 F2의 표현형분리 (A_B_) : (A_bb) : (aaB_) : (aabb) 9 : 3 : 3 : 1    
상위성이 있는 경우 유전자 상호작용에 따른 여러가지
분리비
(9A_B_) : (3A_bb + 3aaB_ + 1aabb)  9 : _  _  1 족유전자(이중열성상위)
(9A_B_) : (3A_bb) : (3aaB_ + 1aabb) 9 : 3 : _ 4 건유전자(열성상위)
(9A_B_ + 3A_bb) : (3aaB_) : (1aabb) 12 _ : 3 : 1 복유전자(우성상위)
(9A_B_ + 3A_bb + 3aaB_) : 1aabb 15 _ _ : 1 복유전자(비누적적)
(9A_B_) : (3A_bb + 3aaB_) : (1aabb) 9 : 6 : 1 수유전자(누적적)
(3aaB_) : (9A_B_ + 3A_bb +1aabb) 3 : 13 제유전자
  • 상위 : 비대립유전자 사이의 상호작용에서 한쪽 유전자의 기능만 나타나는 현상

1. 보족유전자(이중열성상위) - 補足(보태서 넉넉하게 함) 벼보피  9 : 7

 ① 2종의 우성유전자가 함께 작용해서 전혀 다른 한 형질을 발현시킴

 ② 여러 유전자들이 함께 작용하여 한 가지 표현형이 나타나는 것

  • 예)의 밑동색깔, 스위트피(완두콩)의 꽃색깔 유전

 ③ 스위트피(sweet pea)의 꽃색깔 유전

  • 꽃색깔의 발현이 2개의 우성유전자 C와 R의 공동작용으로 나타남
  • C와 R이 같이 있어 서로 보충해야 나타남 → 보족유전자
  • C와 R 어느 하나가 없으면 꽃은 무색으로 되어 F2 분리비가 9(유색) : 7(무색)로 나타남
  • P CCRR × ccrr
    F1 CcRr
    F2   CR     Cr     cR     cr
       9      3       3      1
     유색        무색

2. 조건유전자(열성상위) 조현토 9 : 3 : 4

 ① A유전자가 있어야(조건) B유전자의 작용이 나타남

  • 예) 현미의 종피색깔, 토끼의 털색깔 유전

 ② 토끼의 털색깔 유전

  • G(회색유전자)나 B(흑색유전자)는 C(착색유전자)의 존재를 조건으로 해야만 형질 발현이 가능함
  • 이 때 G나 B를 조건유전자라 함
  • F2 분리비  9 : 3 : _ 4
  • P CCGGBB × ccggbb
    F1 CcGgBb
    F2 CGB     CgB     cGB     cgB
                   3        1  
    회색    흑색         백색

3. 피복(被覆)유전자(우성상위) 피귀호색  12 : 3 : 1

 ⓛ 물질대사의 두 경로에서 A유전자가 작용하지 않을 때에만 B유전자의 작용이 나타남

  • 예) 귀리꽃의 외영색깔, 호박의 과유전(호박색)

 ② 호박의 과색유전

  • W(백색)는 w(녹색)에 대해 우성, Y(황색)는 y(녹색)에 대해 우성인데, W는 Y에 대해 우성처럼 작용함
  • W와 Y는 서로 대립관계가 다른 2개의 우성유전자인데도 우열관계를 보임
  • 우성처럼 작용하는 W를 상위, 열성처럼 작용하는 Y를 하위라 함
  • 상위유전자를 피복유전자라 함
  • P WWYY × wwyy
    (백색)    (녹색)
    F1 WwYy
    (백색)
    F2   WY     Wy     wY     wy
       9        3       3       1 
         백색        황색   녹색

4. 중복유전자(비누적적) 중냉  15 : 1

 ① 똑같은 형질에 작용하는 유전자들이 독립적으로 작용함

  • 예) 냉이의 씨꼬투리모양

 ② 냉이 씨꼬투리모양 유전

  • 유전자 C, D는 모두 부채꼴을 나타냄
  • 유전자 c, d는 모두 창꼴을 나타냄
  • C, D는 단독이나 공동 모두 부채꼴을 나타내며, 그 작용이 비누적적이고 서로 중복되어 있음
  • P CCDD   ×   ccdd
    부채꼴       창꼴
    F1 CcDd
    부채꼴
    F2 CD     Cd     cD     cd
     9       3       3       1
          15(부채꼴)        창꼴

5. 복수유전자(누적적) 복호밀  9 : 6 : 1

 ① 같은 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이 누적효과를 나타냄

  • 예) 관상용 호박의 모양, 밀알의 색깔 유전

 ② 밀알 색깔 유전

  • 밀알 색깔은 A, B, C 3개의 우성유전자 수효에 비례해서 붉은색이 진해짐
  • 3개의 우성유전자가 모두 밀알 색깔을 붉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동의유전자임을 나타냄
  • P AABBCC    ×    aabbcc
    농적색              백색
    F1 AaBbCc
    중간색
    F2      6              5             4              3             2             1             0         우성유전자 수
    AABBCC     AaBBCC     AaBbCC     AaBbCc     AAbbcc     Aabbcc     aabbcc       
         1              6            15             20           15            6             1         분리비
      농적색        적색       담적색        중간색      백적색      근백색      백색        색깔

6. 억제유전자  억수누  3 :13

 ① 독자적인 형질발현 없이 다른 유전자의 작용을 억제하기만 함

  • 예) 수수의 알갱이 색깔, 누에고치 색깔 유전

 ② 누에고치 색깔 유전

  • Y(황색)는 y(백색)에 대해 우성
  • Y의 형질발현을 억압하는 다른 우성유전자 I가 작용하여 3 : 13의 분리비가 나타남
  • P ⅠⅠyy    ×     iiYY
       백색           황색
    F1 ⅠiYy
    백색
    F2 ⅠY   Ⅰy     iY     iy
      9     3       3      1
    13(백색)    (황색)

7. 치사유전자

 ① 어떤 유전자가 호모상태로 존재할 때 그 배우자나 개체를 죽게하는 작용이 있는 유전자

  • 예) 생쥐의 털색깔 유전

 ② 생쥐의 털색깔 유전

  • Y(황색)는 y(흑색)에 대해 우성이지만, YY처럼 호모상태인 것은 치사
  • 황색털 개체의 유전자형은 헤테로상태로만 존재함
  • P Yy    ×     Yy
    황색        황색
    F1  YY     Yy     Yy     yy
      1      1      1       1
    치사      황색      흑색

 

반응형

'재배기초 및 유전 > 유전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2. 유전자 연관  (0) 2022.03.02
1-21. 기타 유전변이  (0) 2022.03.01
1-19. 유전자 상호작용  (0) 2022.02.18
1-18. 멘델의 제2법칙(독립의 법칙)  (0) 2022.02.17
1-17. 멘델의 제1법칙  (0) 2022.02.16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