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1. 작물 재배의 정의와 이론

 

1) 재배 및 작물의 정의

 ① 농업(agriculture, farming) - 토지를 이용하여 유용한 식물을 기르거나 또는 유용한 동물을 사육하는 산업

 ② 재배(cultivation, growing) - 인간이 경지를 이용하여 작물을 기르고 수확을 올리는 행위

 ③ 축산 - 토지의 생산력을 기반으로 가축을 길러서 사람의 생활에 유용한 물질을 생산하는 산업

 ④ 작물(crop) - 이용성경제성이 높아서 사람의 재배대상이 되는 식물 

                    - 원래는 야생에서 자생하였으나 인공의 환경에서 순화되고 필요한 부분만 발달됨

 ⑤ 가축 - 이용성과 경제성이 높아서 사람의 사육대상이 되는 동물

 

2) 재배의 이론과 재배학

 ① 재배의 목적 - 수량 극대화를 통한 소득 증대

 ② 수량삼각형 - 수량이 극대화되려면 유전성이 우수한 품종을 선택하고 최적의 환경조건을 조성해 주며 알맞은 재배기술을 적용해야 한다. 

[ 작물수량의 삼각형 ]

  • 작물의 수량은 유전성, 환경조건 및 재배기술을 3변으로 하는 삼각형의 면적으로 표시 가능함
  • 삼각형의 면적이 최대로 되려면 3변이 동일한 정삼각형이어야 함
  • 즉, 유전성, 재배환경, 재배기술의 3요소가 동등하게 적용되어야 함
  • 재배기술을 개선하는 일은 작물의 광합성 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을 의미함

3) 재배와 작물의 특징

 ① 재배의 특징

생산면 재배의 가장 큰 특징은 유기생명체를 다루며 토지를 생산수단으로 삼는 것
재배는 자연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고, 생산조절이 자유롭지 못하며, 분업적 생산이 어려움
자본의 회전이 더디고, 노동의 수요공급이 연중 균일하지 못함
토지가 불량한 경우 전면 개량하기가 어렵고, 개량하더라도 비용이 많이 소요됨
토지를 이용함에 있어서 수확체감의 법칙이 적용됨  
유통면 수확한 농산물은 변질되기 쉽고, 연중 가격변동이 심하며, 가격에 비하여 중량이나 용적이 커서 수송비도 많이 듬
생산이 소규모이고 분산적이기 때문에 유통과정에서 중간상인의 영향을 많이 받음
소비면 농산물은 공산물에 비해 수요 공급의 탄력성도 작아서 가격변동성이 매우 큼

② 작물의 특징

  • 작물은 일반식물에 비해 이용성과 경제성이 높은 식물
  • 작물의 이용부위는 사료작물처럼 식물체 전체인 경우도 있지만, 식용작물은 재배의 목적부위가 종실, 잎, 과실 등 식물체의 특정 부분에 해당됨
  • 작물의 경제성을 높이려면 특정 수확부위의 수량이 높아야 함(일종의 기형식물)
  • 기형으로 발달된 작물은 야생식물보다 생존경쟁력이 약하고 자연상태로 방치하면 소멸되기 쉽기 때문에 작물의 충분한 수확을 올리려면 불량환경에 대처하고 야생 동식물이나 미생물의 침해를 방지하는 조치가 필요함
반응형

'재배기초 및 유전 > 재배개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 작물의 분류(1)  (0) 2022.01.26
1-5. 작물의 기원지  (0) 2022.01.24
1-4. 작물의 기원  (0) 2022.01.21
1-3. 재배의 발달  (0) 2022.01.20
1-2. 재배의 기원  (0) 2022.01.19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