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환경/토양
1-55. 토양 유기물
은하저편
2022. 4. 20. 10:50
반응형
1. 유기물의 기능
① 부식
- 토양에 가해진 유기물이 여러 가지 미생물에 의해 분해작용을 받아 원조직이 변질되거나 새롭게 합성된 갈색 또는 암갈색의 일정한 형태가 없는 교질상의 복잡한 물질
- 토양 중의 전유기물을 지칭하기도 하며, 분해에 대해 어느 정도 저항성을 지니고 있는 물질의 혼합물
② 기능
완충능 증대 | 유기물의 부식은 완충능을 증대시켜 토양반응(pF)이 쉽게 변하는 것을 차단, Al 등 중금속의 독성 중화 |
미생물 번식 촉진 | 미생물의 영양원이 되어 유용미생물의 번식을 조장, 병해 발생 억제, 미생물의 종다양성에 기여 |
양분 공급 |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 유기물은 N, P, K, Ca, Mg, Mn, B, Cu, Zn 등 필수원소 공급 |
입단 형성 | 유기물이 분해되어 부식이 만들어지며 생성된 점질물질은 토양입단을 형성, 토양의 물리성 개선함 |
보수 · 보비력 증대 | 부식은 (-)이온성으로 양분을 흡착하는 힘이 커지며, 이는 토양의 통기성 · 보수력 · 보비력을 증대시킴 |
대기중 CO2 공급 | 유기물이 분해되어 생성되는 최종물은 CO2인데, 작물 주변 CO2 농도를 높여서 광합성을 촉진함 |
생장촉진물질 생성 | 유기물이 분해되면서 유기물을 구성했던 호르몬 · 핵산물질 등의 생장촉진물질을 분비함 |
지온 상승 | 부식의 암갈색은 지온 상승을 유도함 |
암석 분해 촉진 | 유기물이 분해될 때 생성되는 여러 가지 산성물질은 암석 분해를 촉진함 |
토양보호 | 토양을 유기물로 피복하면 토양침식이 억제되고, 토양입단이 형성되면 빗물의 지하침투가 좋고 유거수는 감소하여 토양침식이 경감됨 |
2. 토양부식과 작물생육
1) 토양부식의 과잉
- 부식토(부식 함량 20% 이상)처럼 부식이 지나치게 많으면 부식산이 생성되어 토양이 산성화되고, 상대적으로 점토 함량의 부족으로 작물생육에 불리한 경우가 생김
2) 통기성과 작물생육
① 통기성 불량할 때
- 투수가 잘 안 되는 습답은 토양 중 산소가 부족해서 유기물 분해가 저해되고 유기물이 과다하게 축적됨
- 이러한 상황에서 고온기에 분해가 왕성해지면 토양이 심한 환원상태가 되어 작물에 해롭게 작용함
② 통기성이 양호할 때
- 투수 · 배수가 양호한 논 · 밭은 토양유기물의 분해가 왕성하므로, 유기물을 해마다 충분히 시용해도 과다한 축적이 나타나지 않음
3. 토양유기물 공급
① 우리나라 상황
- 우리나라 토양은 화강암을 모암으로 하는 특성과 집중호우 등의 기후적 요인으로 부식함량이 낮은 상태로, 작물을 재배하여 알맞은 함량으로 맞추어 주는 것이 중요함
- 주작물 - 콩과작물 등 윤작이 발달하지 못하여 전작녹비가 거의 없고, 농업노동력이 부족하여 답리작 녹비 재배도 시행되지 않음
- 과거 산야초나 일부 고간류를 이용한 퇴비증산을 하였으나, 최근 축산농가에서 나오는 유기성 폐기물로 만든 유기질 비료가 증가함
② 유기물 공급
- 유기물 주요 공급원 : 퇴비 · 구비 · 녹비 · 고간류 등
- 답리작맥류의 재배면적이 감소함에 따라, 겨울철 푸른들가꾸기운동이 전개되어 호밀 · 자운영 · 헤어리베치 등 녹비작물의 재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