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환경/토양
1-47. 토양의 고상(토양 물리성) (2)
은하저편
2022. 4. 8. 14:26
반응형
3. 양이온 치환용량
① 양이온 치환용량(CEC)
- CEC(Cation Exchange Capacity) :
- 토양 중 점토(무기교질)나 부식(유기교질)이 증가하면 CEC도 증가함
- 토양 중 CEC가 커지면
- CEC가 커지면 비료성분의 용탈이 적어서 비효가 늦게까지 지속됨
- 완충능 : CEC가 커지면 토양의 완충능도 커져서 토양반응(pH)의 변동에 저항하는 힘이 커짐
- 우리나라 토양의 CEC : 모래함량이 비교적 많은 사양질 계통의 토양이 많고 점토를 구성하고 있는 점토광물이 카올리나이트로 구성되어 있고, 유기물함량도 적기 때문에 CEC가 평균 10cmol(+)kg 로 아주 낮음
- 주요 토양교질물의 양이온치환용량
반응형
② 양이온교환
- 토양 콜로이드는 대체로 음전하를 띠기 때문에 이를 전기적으로 중화시킬 만큼의 양이온이 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토양 콜로이드에 흡착되어 있음, 이들 흡착된 양이온은 용액 속의 다른 양이온들과 교환되어 쉽게 토양용액 속으로 침출됨
- 이들 양이온을 교환성 양이온이라 하고
- 이온의 농도가 짙을수록 침입하기 쉽고, 2가 이온은 1가 이온보다 침입하기 쉬우며, 이동속도가 빠를수록 잘 됨
- 교환침입력 : (알수카마암케나)
③ 염기포화도
- 토양콜로이드가 교환성 염기만 가지고 있을 때, 그 토양을 염기포화토양이라 하고, 교환성 수소도 함께 섞여 있을 때를 염기불포화토양이라고 함
- 교환성 양이온 총량 또는 양이온교환용량에 대한 교환성 염기의 양을 염기포화도라고 함
- 염기포화도가 낮을수록 토양은 산성으로 된다.
- [예제]
- [☞ 해설] 염기포화도 = 치환성양이온/CEC × 100 = (14.6 + 6.0 + 0.3 + 0.1)/30 × 100 = 70%
4. 토성의 분류
① 토성
- 토양입자의 성질에 따라 구분한 토양의 종류
② 토성의 분류법
- 미국 농무성법의 토성삼각도표
- 점토 57.1%, 미사 14.2%, 모래 28.5% 일 때 토성은?
☞ 점토 57%, 미사 14%, 모래28%가 만나는 점이 토성이 된다. 즉 식토이다.
- 토양입자별 함량에 따른 토성 분류법(국제 토양학회) : 점토함량 · 미사 · 세사 · 조사의 함량을 고려한 세분화된 토성분류
- 자갈과 부식 함유상태 표시법(%)
표시법 | 자갈 | 부식 |
함유함 | 5 ~ 10 | 2 ~ 5 |
풍부함 | 10 ~30 | 5 ~ 10 |
매우 많음 | 30 ~ 50 | 10 ~ 20 |
자갈토양 또는 부식토 | 50 〈 자갈토양 | 20 〈 부식토 |
5. 토성의 성질
자갈흙 | 자갈흙은 작물재배가 힘들고 척박하며, 물을 보유하는 능력이 부족하여 한해 가능성 높음 |
굵은 자갈을 제거하고 세토와 부식을 객토함 | |
사토 | 사토는 척박하고, 토양침식도 심하며, 작물의 한해 발생이 쉬움 |
점토를 객토하고 유기질을 사용하여 토성을 개량해야 함 | |
식토 | 식토는 공기 이동, 물 빠짐이 어렵고, 유기물 분해가 오래 걸리며, 작물 습해나 유해물질의 피해가 높음 |
점착력이 강하고(점착성), 건조하면 굳어져서(응집성) 경작이 곤란함 | |
미사 · 부식으로 객토하여 토성을 개량해야 함 | |
부식토 | 부식토는 세토가 부족하고 강한 산성을 나타내기 쉬움 |
부식토는 산성을 교정해야 하며 점토로 객토해야 함 | |
보통 자갈이 적고 부식이 풍부한 사양토 ~ 식양토가 작물의 생육에 가장 적합 |
6. 작물의 종류와 재배에 적합한 토성
사토 | 세사토 | 사양토 | 양토 | 식양토 | 식토 | 이탄토 |
- 사토 ~ 식토 : 콩, 팥(척박지 재배 가능, 근류균 공생하므로 통기가 중요함)
- 사토 ~ 식양토 : 감자, 고구마, 녹두
- 사토 ~ 양토 : 근채류, 오이, 양파(물빠짐이 중요함)
- 사토 ~ 사양토 : 땅콩(모래땅)
- 사양토 ~ 식양토 : 호밀, 조, 옥수수, 수수, 메밀, 엽채류, 사탕무
- 세사토 ~ 양토 : 보리
- 양토 ~ 식양토 : 귀리, 강낭콩, 차나무, 화이트클로버
- 사양토 ~ 양토 : 목화, 삼, 완두, 담배, 아마, 피
- 식양토 ~ 식토 : 밀(진흙땅)
- 사토, 식토만 정확히 암기할 것, 나머지는 사양토, 양토, 식양토 중간값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