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기초 및 유전/품종

1-45. 유전자원 관리

은하저편 2022. 4. 7. 10:05
반응형

1. 유전자원의 의미

①  유전자원

  • 식물 중에서 인류가 이용 가능한 유전변이
  • 유전자원에는 작물의 재래종 · 육종품종, 근연 야생종은 물론, 세포 · 켈러스(callus) · DNA 등도 포함됨
  • 유전자원을 탐색 · 수집 · 보존하는 일은 장래 육종은 물론 인류의 미래를 위해서도 중요

②  유전적 침식

  • 그동안 유전자원을 이용하여 많은 우량품종을 육성한 결과 유전적으로 다양한 재배종들이 급속히 사라지는 현상
  • 우리나라에서 지난 10년간 작물의 재래종 중에서 1/3이 멸종됨

③  유전적 취약성

  • 소수의 우량품종을 확대 재배함으로써 병해충이나 냉해 등 재해로부터 일시에 급격한 피해를 받게 되는 현상
  • 다수성 통일형 품종은 1980년에 냉해로 인해 평년작보다 32%가 감수된 경험이 있음

2. 유전자원의 수집과 이용

①  유전자원 수집

  • 작물의 유전자원은 대부분 종자로 수집하지만, 비늘줄기 · 덩이줄기 · 접수 · 식물체 · 화분 · 배양조직 등으로 수집하기도 함
  • 유전자원을 수집할 때에는 수집지역의 기후, 토양특성, 생육상태 및 특성, 병해충 유무 등 가능한 모든 것을 기록
  • 수집한 유전자원에 병해충이 묻어 들어올 염려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함

②  유전자원 이용

  • 수집한 유전자원은 형질의 특성을 평가한 다음, 그 정보를 컴퓨터에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database)로 만들어 이용
  • 유전자원과 그에 관한 정보는 국내외에서 자유롭게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자국의 산업보호 등을 이유로 국제적 교류가 까다로워져 가는 경향
  • 국제식물유전자원연구소(IPGRI) : 유전자원의 탐색 · 수집 · 이용을 위한 세계적 조직망

3. 유전자원의 보존

  • 종자번식작물의 유전자원은 주로 종자의 형태로 보존
  • 영양번식 작물은 덩이뿌리 · 알뿌리 · 덩이줄기 · 알줄기 · 비늘줄기 · 삽수 등 영양체로 보존
  • 종자수명이 짧은 작물이나 영양번식 작물은 장기간 보존하기 위해 조직배양을 하여 기내보존을 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