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기초 및 유전/육종
1-36. 1대 잡종(F1) 종자의 채종
은하저편
2022. 3. 25. 13:39
반응형
인공교배 | 호박, 수박, 오이, 참외, 멜론, 가지, 토마토, 피망 |
웅성불임성 이용 | 옥수수, 양파, 파, 상추, 당근, 고추, 벼, 밀, 쑥갓 |
자가불화합성 이용 | 무, 순무, 배추, 양배추, 브로콜리 |
1. 인공교배에 의한 방법
- 자방친의 수술을 제거한 후 원하는 화분친의 화분을 수분시키는 방법
- 자방친으로부터 화분이 들어있는 꽃밥을 제거하는 제웅의 과정이 매우 중요함
- 인공교배는 제웅과 수분에 많은 노력과 경비가 요구되고, 자식성작물의 경우 작업이 힘든 경우가 많음
2. 자가불화합성을 이용하는 F1종자 생산
1) 의미
- 자가불화합성이 있는 작물들은 자가불화합성 유전자(S유전자)가 서로 다른 두 집단을 혼식하면 개체 간의 수정이 이루어져 F1종자를 생산할 수 있음
- 제웅의 노력이 경감
- 웅성불임에 비해 양친의 어느 쪽에서도 F1종자를 생산할 수 있음
- 즉, S유전자형이 다른 자가불화합성 자식계통을 함께 재배함으로써 자연수분에 의하여 자방친과 화분친 모두 F!종자를 채종함
- 배추에서 →
2) 자식계통의 자가불화합성 타파 방법
① 뇌수분 or 지연수분(말기수분)
- 개화 전(5~7일 전)이나 개화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자가불화합성 물질이 거의 생성되지 않아 자가화합이 되어 결실함
- 뇌수분 : 꽃봉오리 때 수분하는 것
② 이산화탄소 처리법 : 유채과 식물에서 3~10%의 CO2 처리하면 불화합 유기물질이 파괴됨
③ 암술의 물리적 처리법 : 불화합 반응조직의 제거 및 불화합 반응 억제
※ 우리나라 최초의 1대 잡종품종 ?
☞ 배추의 '원예1호'와 '원예2호' - 우장춘 박사가 1960년에 자가불화합성을 이용하여 최초 육성,
☞ 현재 대부분 원예작물을 1대잡종품종으로 육성함
3. 웅성불임성을 이용한 F1종자 생산
① 의미
- 어미 계통에 웅성불임인 것을 이용하면 F1종자를 생산할 때 어미 계통을 제웅할 필요가 없어서 노력이 경감됨
- 한 꽃 속에 암수가 함께 있는 식물은 새포질 웅성불임성을 이용하여 경제적으로 F1종자를 생산함
- 웅성불임성이 다른 형질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세밀하게 검토해야 함
② 3계통법(세포질적 웅성불임을 이용한 F1종자 생산)
- 웅성 불임친(A계통)
- 웅성 불임을 유지해 주는 유지친(B계통)
- 웅성불임친의 임성을 회복시키는 임성회복친(C계통) 등의 3계통이 필요함
- C계통(임성회복친)은 화분량이 많으면서 F1의 임성을 온전히 회복시킬 수 있는 임성회복유전자가 동형접합체(RfRf)로 존재해야 함
③ 2계통법(유전자적 웅성불임을 이용한 F1종자 생산)
- 3계통법은 웅성불임친을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웅성불임 유지친이 필요한 데 이러한 번거로움을 덜기 위한 방법으로
- 특정한 온도와 일장에서 임성을 회복하는 환경감응형 웅성불임성(GMS)을 이용하는 방법
- 제웅 생략 작업 : 웅성불임계를 모계로 사용하고, 정상의 가임계를 사용하면 제웅 작업을 생략하고 방임수분에 의해 1대잡종의 채종이 가능함
- 즉, 격리포에 웅성불임의 모계(母系)와 가임의 부계(父系)를 교호로 심고 방임재배하면 불임계에서 얻어지는 종자는 모두 부계로부터 온 화분에 의해 수정된 종자, F1을 얻을 수 있다.
※ 자가불화합성과 웅성불임성 비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