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기초 및 유전/유전성
1-22. 유전자 연관
은하저편
2022. 3. 2. 11:30
반응형
1. 연관
① 연관 : 동일한 염색체상에 자리잡고 있는 둘 이상의 유전자 간의 관계
② 연관군
- 한 염색체상에 위치한 모든 유전자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서로 연관되어 있기에 연관군을 형성함
- 벼의 경우 유전자 수는 5만 개, 기본 염색체 수는 12개임
- 유전자 수는 염색체 수보다 훨씬 많으므로 각 염색체 상에 많은 유전자들이 놓여 있음
③ 연관군 수
- 배우자(생식세포)의 염색체 수와 일치
- 벼의 연관군은 12개(n=12), 옥수수의 연관군은 10개(n=10)
④ 완전연관
- 유전자의 연관관계가 완전한 것
- 두 유전자 사이에서 교차가 전혀 일어나지 않아 재조합가가 0 인 경우
⑤ 부분연관
- 두 유전자 사이에서 교차가 일어나서 재조합가가 0 보다 클 경우
- 동일한 상동염색체에 실려 있는 대립유전자들의 집단적 행동이 일부 파괴되어 유전자의 연관관계가 완전하지 못하고 부분적인 데 그치는 경우
2. 연관형태
① 상인(相引)
- 2 이상의 우성유전자(또는 열성유전자)끼리 연관되어 있는 유전자 배열( A B, a b )
- 상인에서 교차형 배우자는 A b, a B 가 됨
- F1의 배우자 형성에 있어서 양우성이나 양열성인 배우자가 단우성인 배우자보다 많이 생기는 현상
② 상반(相反)
- 우성유전자와 열성유전자가 동일한 염색체에 위치(연관)되어 있는 유전자 배열(A b, a B)
- 상반에서 교차형 배우자는 A B, a b 가 됨
- F1의 배우자 형성에 있어서 양우성이나 양열성인 배우자가 단우성인 배우자보다 적게 생기는 현상
3. 상인 · 상반 교차율 구하기
※ 예제1) F1 AbBb 가 생성하는 배우자가 7AB : 1Ab : 1aB : 7ab 의 비로 되었다면 교차율은 얼마인가?
- F1 배우자 비가 7 : 1 : 1 : 7 이므로 연관형태는 상인
- 교차율 = 100/n+1 = 100/8 = 12.5%
※ 예제2) F1 AaBb 를 자식시킨 결과 F2 분리비가 99 : 48 : 48 : 1 로 나타났다. 재조합빈도는?
- F2 분리비가 99 : 48 : 48 : 1 이므로 연관형태는 상반, n = 6
- 교차율 = 100/n+1 = 100/7 = 14.3%
반응형